Quick Menu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

수강정보를 등록중 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

채용 시 산업안전보건교육 신청

1. 본 교육은 신규입사 후 업무 배치 전 자체 수강신청을 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합니다.
2. 사업장에서 부여 받은 코드를 입력해 주세요.
* 교육 안내문자를 받으신 분들은 자체수강 신청 대상이 아님을 참고 바랍니다.

사업장코드 입력
요양병원 수가실무관리 A to Z
샘플강의
요양병원 수가실무관리 A to Z
요양병원 수가실무관리 A to Z
샘플강의

강좌구성 총 20차시

학습기간 30일

교육비용 87,780원

강좌소개
2008년 1월 1일 「요양병원 입원일당 정액포괄수가제」가 도입된 후 10년이 지난 현재에도 일선 현장의 요양병원 수가체계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부족합니다. 요양병원 수가체계에 대한 정확하고 상세한 이해는 체계적인 병원 운영과 경영정책 수립에 반드시 필요합니다. 또한, 요양병원 환자평가표 작성의 정확한 이해는 환자 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환자에 맞는 적절한 의료가 제공되어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본 과정은 2019년 11월 1일 시행한「건강보험 요양급여의 비용 제3편 급여 및 상대가치점수 일부 개정안」의 빠른 이해를 돕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개정안 핵심의 정확한 이해를 도와 실무역량을 강화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집중하였습니다. 수가적용과 환자평가표 작성의 다양한 사례를 포함하여 요양병원 수가체계와 환자평가표 작성에 대해 쉽게 이해하고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학습대상자
1. 요양병원 의사 및 간호사
2. 요양병원 심사청구 담당자 및 행정, 원무 임직원
강좌목표
1. 요양병원 행위별 급여목록 및 수가 산정지침을 이해하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다.
2. 요양병원의 5개 환자군 (의료최고도, 의료고도, 의료중도, 의료경도, 선택입원군)에 대한 분류별 세부 산정지침을 이해할 수 있다.
3. 환자평가표의 작성원칙을 이해하여 실무에서 환자평가표를 정확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강사소개
이영호
이노솔루션 교육원장
경남병원, 희연병원, 마산대학 의무행정과 강사, 대한요양병원협회 수가연구팀장, MD jin 병원경영연구소 총괄이사, 한국만성기의료협회 수가연구팀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평생을 병원 원무, 심사 분야에 종사한 우리나라 유일의 심사맨이며, 권위자이다. 특히, 2008년 도입된 요양병원 ‘자원소모량 기준 일당정액제’ 시행 이전인 ‘질병군별 일당정액제’ 시범사업에도 2년간 참여하여 요양병원 수가제도의 산증인이라 할 수 있다.
평가내용
평가항목
총 진도율 : 80% 이상(필수)
진행단계평가 : 100%
최종평가(시험) : 100%
과제 : 없음
수료기준
총점 60점 이상
교육비안내
 
우선지원대상기업
중견기업(1,000인 미만)
대기업(1,000인 이상)
정부지원금 (환급액)
79,002원
70,224원
35,112원
자부담 금액
8,778원
17,556원
52,668원
우선지원대상기업
정부지원금(환급액) : 79,002원
자부담 금액 : 8,778원
중견기업(1,000인 미만)
정부지원금(환급액) : 70,224원
자부담 금액 : 17,556원
대기업(1,000인 이상)
정부지원금(환급액) : 35,112원
자부담 금액 : 52,668원
차시정보
1 요양병원 수가체계 및 급여목록·산정지침 [맛보기강좌]
2 요양병원 환자군 분류별 세부 산정지침 - 의료최고도
3 요양병원 환자군 분류별 세부 산정지침 - 의료고도
4 요양병원 환자군 분류별 세부 산정지침 - 의료중도
5 요양병원 환자군 분류별 세부 산정지침 - 의료경도, 선택입원군
6 요양병원 행위 급여목록 및 특정기간·특정항목
7 입원료 차등제, 필요인력 가산 산정기준
8 요양병원 인력 산정 기준 및 행정 해석
9 건강보험 요양급여비용 - 전문재활치료
10 건강보험 요양급여비용 - 입원환자식대
11 환자평가표 작성원칙과 환자평가표 적용 및 사례
12 환자평가표 작성 - A. 일반사항 B. 의식상태
13 환자평가표 작성 - C. 인지기능 [1]
14 환자평가표 작성 - C. 인지기능 [2]
15 환자평가표 작성 - D. 신체기능
16 환자평가표 작성 - E. 배설기능 F. 질병진단
17 환자평가표 작성 - G. 건강상태
18 환자평가표 작성 - H. 구강 및 영양상태
19 환자평가표 작성 - I. 피부상태
20 환자평가표 작성 - J. 투약. k.특수처치